각 나라별로 밤낮이 다르듯이 시간또한 다르다 그 기준을 알아보고 대한민국의 기준시간의 표현방식을 확인하려한다.
TimeZone
Time Zone(타임존)은 동일한 로컬 시간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해당 국가에 의해 법적으로 지정되며, 국가별로 각자의 고유한 타임존을 가짐
GMT
Greenwich Mean Time(그리니치 평균시)는 런던을 기점으로 하고 웰링턴에 종점으로 설정되는 협정 세계시의 기준시간
UTC
Coordinate Universial Time(세계 협정시)는 GTC의 시간 기반으로 세슘 원자의 진동수를 사용해 시간을 계산하여 30만년에 1초 수준으로 오차를 줄였고 기술적인 표기에서는 UTC를 사용한다.
KST
Korean Standard Time 한국표준시 대한민국 북한의 표준시로 일본 표준시와 같은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여 UTC보다 9시간 빠른 표준시 (UTC+09:00)
summertime
하절기에 국가의 표준시를 원래 시간보다 (일반적으로) 한 시간 앞당겨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좀더 구체적인 시기는 3월의 둘째 일요일부터 11월의 첫째 일요일까지의 기간동안 0시에 일광 절약 시간제를 실시하며 1시로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 UTC-4
[결과]
GMT의 평균 태양시라는 것을 사용하여 하루를 정의 UTC는 GMT시간기반에 세슘원자의 진동수를 사용해 시간을 계산
https://brunch.co.kr/@wonish/374
세계 각국 타임존 : UTC, PST, EST, KST
영어 이메일 필사를 하다가 UTC, PST, EST 같은 각국 시간대 표현이 나와서 궁금해서 찾아봤다. 예전부터 어렴풋이는 알았지만 정확하게는 알지 못했던 세계 각국의 시간대다. 해외 법인과 일을 하
brunch.co.kr
https://blog.naver.com/whdgml1996/222494354417?trackingCode=rss
[개발 관련 주변지식 01] 날짜와 시간 (Timezone, GMT, UTC, KST, ISO 8601)
1. timezone timezone이란 단어를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A time z...
blog.naver.com